오쿠다이라 사다요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쿠다이라 사다요시는 센고쿠 시대의 무장으로, 미카와의 가메야마성을 본거지로 삼았다. 이마가와 씨와 도쿠가와 씨를 섬기며 세력을 키웠으나, 다케다 신겐의 스루가 침공 이후 다케다 씨에게 종속되었다가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다시 귀순했다. 나가시노 전투에서 공을 세웠으며, 만년에는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기며 후시미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쿠다이라씨 - 나가시노 전투
1575년 오다 노부나가-도쿠가와 이에야스 연합군이 나가시노 성에서 다케다 가쓰요리 군을 상대로 효과적인 철포 운용과 방어 전략을 통해 승리하며 전국 시대의 흐름을 바꾼 전투가 나가시노 전투이며, 3단 사격 전술의 실재 여부 등 전투에 대한 다양한 논쟁과 분석이 현재까지도 이루어지고 있다. - 오쿠다이라씨 - 가노번
가노번은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오쿠다이라 노부마사에게 주어져 성립되었으며, 나가이 가문이 통치했고, 일본 우산 생산이 성행했다. - 1599년 사망 - 권율
조선 중기의 문관이자 무장인 권율은 안동 권씨 출신으로, 늦은 나이에 문과에 급제하여 관료 생활을 시작, 임진왜란 때 행주대첩에서 승리하는 등 활약하여 도원수에 올랐으며 이몽학의 난을 진압하는 데에도 기여,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고 선무공신 1등에 녹훈된 인물이다. - 1599년 사망 - 베아트리체 첸치
베아트리체 첸치는 아버지의 학대를 견디다 가족과 함께 아버지를 살해하고 처형된 16세기 로마의 귀족 여성이다. - 1537년 출생 - 권율
조선 중기의 문관이자 무장인 권율은 안동 권씨 출신으로, 늦은 나이에 문과에 급제하여 관료 생활을 시작, 임진왜란 때 행주대첩에서 승리하는 등 활약하여 도원수에 올랐으며 이몽학의 난을 진압하는 데에도 기여,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고 선무공신 1등에 녹훈된 인물이다. - 1537년 출생 - 사나다 노부쓰나
사나다 노부쓰나는 센고쿠 시대 다케다 가문을 섬긴 사나다 유키타카의 아들로, 다케다 신겐을 섬기며 공을 세우고 가독을 계승했으나 나가시노 전투에서 전사했다.
오쿠다이라 사다요시 | |
---|---|
기본 정보 | |
![]() | |
씨족 | 오쿠다이라 씨 |
이름 | 오쿠다이라 사다요시 |
이명 | 통칭: 구하치로 (九八郎) 수령명: 미마사쿠노카미 (美作守) |
생몰 | 출생: 덴분 6년 (1537년) 사망: 게이초 3년 12월 11일 (1599년 1월 7일) |
시대 | 센고쿠 시대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계명 | 수창원전목암도계대거사 (寿昌院殿牧庵道渓大居士) |
묘소 | 불명 |
주군 | 이마가와 요시모토 도쿠가와 이에야스 다케다 신겐 도쿠가와 이에야스 |
가족 | 아버지: 오쿠다이라 사다카쓰 어머니: 미즈노 다다마사의 여동생 |
형제 | 불명 |
배우자 | 불명 |
자녀 | 노부마사 센치요 마사카쓰 딸 (혼다 시게즈미의 부인, 후에 오쿠다이라 사다토모의 계실) 딸 (아치와 사다나오의 부인, 후에 오쿠다이라로 개성) |
경력 | |
관위 | 불명 |
특기 사항 | |
기타 |
2. 생애
오쿠다이라 사다요시는 오쿠미카와의 사쿠테 가메야마성을 본거지로 하는 호족이었다. 전국 시대인 에이쇼 연간(1504년 ~ 1521년)부터 사료에 등장하며, 아버지 사다카쓰 시대에는 스루가의 이마가와 씨와 관계를 강화했다.
사다요시는 덴분 16년(1547년) 숙부와 함께 이오잔 요새를 공략한 공으로 영지를 받았다. 그러나 숙부가 이마가와 씨에게 모반을 일으키자, 아버지 사다카쓰는 충절을 증명하기 위해 사다요시를 인질로 보냈다. 고지 2년(1556년)에는 성인식을 치르고 구하치로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이 무렵 미카와 국에서는 이마가와 파와 반 이마가와 파 간의 내분(도산 삼방의 난)이 일어났다. 사다요시는 이마가와 씨에게 반기를 들었다가 고야산으로 쫓겨났지만, 에이로쿠 원년(1558년)에 사면되었다.
에이로쿠 3년(1560년) 오케하자마 전투에서 이마가와 요시모토가 오다 노부나가에게 패사한 후, 사다요시는 아버지와 함께 이마가와 파로 남았다. 이후 아버지로부터 가독을 물려받았다.
에이로쿠 7년(1564년) 2월, 오쿠다이라 씨는 이마가와 씨를 배신하고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충성을 맹세했다.[1] 사다요시는 이에야스로부터 영지를 하사받고 미사카노카미라는 관직을 받았다. 이후 이에야스의 도토미 침공에 참여하고, 겐키 원년(1570년) 아네가와 전투에도 참전했다.
2. 1. 다케다 씨에게 종속되기까지
오쿠미카와의 사쿠테 가메야마성을 본거지로 하는 오쿠다이라 씨는 전국 시대 에이쇼 연간에 사다요시의 조부인 사다마사 시대부터 사료에 나타나며, 사다요시의 아버지 사다카쓰 시대에는 스루가 이마가와 씨와의 관계를 강화하고 있었다.사다요시의 사료상 첫 기록은 덴분 16년(1547년) 8월 25일자 이마가와 요시모토 판물 사본으로, 어린 시절 이름 센치요를 칭하던 사다요시는 숙부인 큐베에노조(오쿠다이라 사다토모)와 함께 이오잔 요새를 공략한 은상으로 산중에 지행을 받았다. 큐베에노조는 직후 이마가와 씨에게 모반을 꾀했고, 다음 해 덴분 17년 정월 26일자 이마가와 요시모토 판물 사본에 따르면 사다요시는 사다카쓰에 의해 이마가와 씨에 대한 충절의 증거로 요시다에 인질로 제출되었다고 한다.
고지 2년(1556년) 10월경까지 원복을 치르고 구하치로를 칭했다. 이 무렵, 스게누마 씨 등 미카와 국중 사이에서는 친 이마가와 파와 반 이마가와 파 사이에서 내부 분쟁이 일어났는데, 이를 도산 삼방의 난이라고 불렀다. 오쿠다이라 씨에서도 사다카쓰가 이마가와 씨에게 신종하고 있었지만, 같은 해 봄경 사다요시는 동족인 큐베에노조, 히코큐로, 요주로 등과 함께 이마가와 씨에게 역심을 꾀했고, 사다카쓰 파의 친척들에게 고야산으로 쫓겨났다. 그 후 에이로쿠 원년(1558년)까지 사다요시는 사면되었다.
에이로쿠 3년(1560년) 5월, 오케하자마 전투에서 이마가와 요시모토가 오다 노부나가에게 패사한 후, 이마가와 씨와 마쓰다이라 씨(도쿠가와 이에야스) 사이의 항쟁이 격화되었지만, 사다요시는 사다카쓰와 함께 이마가와 파로서 행동하였다. 이 무렵 사다카쓰는 은거하여, 사다요시에게 세대 교체가 이루어졌다고 생각된다.
에이로쿠 7년(1564년) 2월, 오쿠다이라 씨는 이마가와 씨에서 이반하여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속했다.[1] 사다요시는 이에야스로부터, 이에야스에게 적대하는 마키노 씨·오쿠라다이 마쓰다이라 씨의 영지인 우시쿠보령·오누마령·오쿠라다이령 등 3,500관문과 도토미 3분의 1의 지행을 하사받아, 미사카노카미의 수령명을 받았다.
이후, 이에야스의 도토미 침공을 따랐으며, 겐키 원년(1570년) 6월 28일 아네가와 전투에도 참전했다.
1568년(에이로쿠 11년) 12월, 가이의 다케다 신겐이 스루가 침공을 시작했다. 같은 해 11월 19일자 다케다 신겐 서장 사본에 따르면, 이 무렵 사다요시와 다케다 씨는 접촉을 하고 있었다.
겐키 원년(1570년) 12월, 다케다 씨의 중신인 아키야마 노부토모가 2,500여 기를 이끌고 히가시미노의 도야마 씨 영지 일부를 거쳐 오쿠미카와로 침공하려 했을 때, 사다요시와 아들 오쿠다이라 노부마사는 도쿠가와 측으로 야마가 세 방면의 사람들과 미카와 무사 2,500명과 함께 동맹한 도야마 씨와 함께 다케다(아키야마) 군과 대치하여, 미카와와의 국경인 미노국에나군가미무라에서 전투가 벌어졌다(가미무라 전투). 수적으로 유리했던 도야마·도쿠가와 연합군이었지만, 도야마 씨가 참패하는 모습을 보고 오쿠다이라 사다요시 부자 등 야마가 세 방면의 사람들과 미카와 무사들은 거의 싸우지 않고 쓰쿠데 가메야마 성으로 도망쳤다.
1571년(겐키 2년) 3월경 오쿠다이라 씨는 다케다 씨에게 종속되었으며, 같은 해 4월에 행해진 다케다 씨의 미카와 침공에서는 다미네·나가시노 스가누마 씨(야마가 세 방면의 사람들)와 함께 안내역을 맡았다. 다케다 씨는 오다 씨와는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 있었지만 도쿠가와 씨와는 도토미 영유를 둘러싸고 긴장 관계에 있었으며, 1573년(겐키 4년) 정월에 다케다 씨에 의한 도쿠가와 영지 침공이 시작되자, 야마가 세 방면의 사람들은 다케다 가신 야마가타 마사카게를 따라 종군했다. 같은 해 4월에는 신겐이 사망하고, 다케다 씨의 도쿠가와 영지 침공은 중지되었다.
2. 2. 다케다 씨와의 관계
1568년(에이로쿠 11년) 12월, 신겐이 스루가 침공을 시작했다. 같은 해 11월 19일자 다케다 신겐 서장 사본에 따르면, 이 무렵 사다요시와 다케다 씨는 접촉하고 있었다.[1]겐키 원년(1570년) 12월, 다케다 씨의 중신 아키야마 노부토모가 2,500여 기를 이끌고 히가시미노의 도야마 씨 영지 일부를 거쳐 오쿠미카와로 침공하려 했을 때, 사다요시와 아들 오쿠다이라 노부마사는 도쿠가와 측으로 야마가 세 방면의 사람들과 미카와 무사 2,500명과 함께 동맹한 도야마 씨와 함께 다케다(아키야마) 군과 대치하여, 미카와와의 국경인 미노국에나군가미무라에서 전투가 벌어졌다(가미무라 전투).[1] 수적으로 유리했던 도야마·도쿠가와 연합군이었지만, 도야마 씨가 참패하는 모습을 보고 오쿠다이라 사다요시 부자 등 야마가 세 방면의 사람들과 미카와 무사들은 거의 싸우지 않고 쓰쿠데 가메야마 성으로 도망쳤다.[1]
1571년(겐키 2년) 3월경, 오쿠다이라 씨는 다케다 씨에게 종속되었으며, 같은 해 4월에 행해진 다케다 씨의 미카와 침공에서는 다미네·나가시노 스가누마 씨(야마가 세 방면의 사람들)와 함께 안내역을 맡았다.[1] 다케다 씨는 오다 씨와는 우호적인 관계였지만, 도쿠가와 씨와는 도토미 영유를 둘러싸고 긴장 관계에 있었다.[1] 1573년(겐키 4년) 정월, 다케다 씨에 의한 도쿠가와 영지 침공이 시작되자, 야마가 세 방면의 사람들은 다케다 가신 야마가타 마사카게를 따라 종군했다.[1] 같은 해 4월, 신겐이 사망하고 다케다 씨의 도쿠가와 영지 침공은 중지되었다.[1]
2. 3. 도쿠가와 씨에게 재소속
1573년(겐키 4년) 봄, 노다성을 함락시키고 철수하는 다케다 군을 수상하게 여겼지만, 곧 신겐의 죽음을 확신한다. 그 해 7월부터 포위되어 있던 미카와 나가시노성 구원에 나섰지만, 원군을 기다리지 못한 나가시노 성주 스게누마 마사사다는 항복했다. 마사사다는 도쿠가와와 내통했다는 의심을 받아 다케다 군에게 구속되었다.[1]내통 의혹은 사다요시에게도 번졌다. 사다요시는 이에야스와 몰래 연락을 주고받았지만, 다케다 노부토요 등에게 발각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추가 인질을 강요당하는 등 입장이 악화되었다.
한편, 이에야스는 오쿠다이라를 아군으로 끌어들이려 사자를 보냈다. 사다요시는 "후의에 감사드립니다"라고 답했다. 이에야스는 노부나가에게 상담했고, 노부나가는 "이에야스의 장녀 카메히메를 사다요시의 장남 사다마사에게 주어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이에야스는 노부나가의 의견을 받아들여 사다요시에게 다음 조건을 제시했다.
- 카메히메와 사다마사의 약혼
- 영지 가증
- 사다요시의 딸을 혼다 시게즈미(혼다 히로타카의 차남)에게 시집보내는 것
1573년 6월 22일, 사다요시는 이에야스에게 신겐의 죽음이 확실하며, 사다요시 부자는 도쿠가와에게 귀순할 의향이 있다는 것을 전하고, 잠시 후 도쿠가와의 가신이 되었다.
8월 21일, 일족 대부분을 이끌고 카메야마 성을 떠나 도쿠가와 측으로 달아났다. 8월 26일에는 차남 센치요를 비롯한 인질 3명이 처형되었다. 꼬챙이 형이었다는 설도 있지만 확실하지 않다.
1573년(덴쇼 원년), 장남 사다마사(후의 노부마사)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은거했으며, 이에야스의 곁에서 오쿠미카와의 지세와 인물 관계를 가르치는 조언자 역할을 했다고 전해진다.
1575년(덴쇼 3년) 5월, 나가시노 전투에서 사카이 타다쓰구에 속해 토비가스 산 기습대로 참전하여 나가시노성 구원에 공헌했다. 전투 후에는 노부나가와 이에야스 양쪽에게 모두 인정받은 노부마사를 돋보이게 하기 위해, 표면적인 무대에서 완전히 물러났다.
2. 4. 만년
1590년(덴쇼 18년) 3월, 오다와라 정벌 도중 미카와국누카타군 나가사와에 머물던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초청받아 나가시노 전투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그 보상으로 의복을 하사받았으며, 수도 거주를 권유받았다. 상경 후에는 미사카노카미에 서임되었고, 히데요시의 수행원으로서 2천 석을 받았다. 히데요시가 사망했을 때에는 유품으로 다기 및 황금을 받았다.[1]1598년(게이초 3년) 12월 11일, 후시미에서 병사했다. 향년 62세. 법명은 쥬쇼인덴 보쿠안 도케이 다이코지이다.[1]
3. 등장 작품
- 徳川家康|도쿠가와 이에야스일본어 (NHK 대하드라마 1983년), 배우: 곤도 요스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